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야마카와 히토시
- 일본 사민당
- 중핵파
- 사이토 코헤이
- 에다 사부로
-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
- 구조개혁론
- 사회민주주의
- 일본 사회당
- 전공투
- 제국주의
- 일본 정치
- 안보투쟁
- 구조개혁파
- 후쿠시마 미즈호
- 스즈키 모사부로
- 오시오 헤이하치로
- 노농파
- 일본형 사회민주주의
- 일본 녹색당
- 도쿄대 투쟁
- 인신세의 자본론
- 일본 공산당
- 일본 좌파
- 일본에서의 사회주의에의 길
- 강좌파
- 정의당
- 일본사회당
- 니혼대 투쟁
- 평화헌법
- Today
- Total
목록낙서장 (16)
방구석 룸펜

이제는 옛날 옛적의 유물이 되어버린 중력전선. 풀 3D로 진짜처럼 움직이는 자쿠를 보며 어릴 적 느꼈던 전율은 아직도 잊을 수가 없다. 지금 보면 꽤 구린 모델링이 군데군데 보이는데, 그땐 이만한 작화는 없다고 생각했었지…각설하고, 기억하기로 매 화 오프닝마다 키시리아 자비의 나레이션과 웅장한 군가풍 행진곡이 깔린 지온공국의 지구강하 작전 프로파간다 영상이 나왔던 것으로 기억한다. 원문은 다음과 같다.鷲は舞い降りる!これはスペースノイドにとって大きな飛躍なのである。ギレン総帥は決断されたのだ。ジオン独立戦争開戦劈頭、我々は正義の剣を地球へと打ち込んだ。しかるに、地球連邦の者どもは未だ重力に呪縛され惰眠を貪っている!総帥はこのキシリアに命じられた。最早我が軍による正義の鉄槌を下す為、重力戦線を形成すると!真の自由の為に我々は重力の坩堝へと舞..
학부생 나부랭이의 소논문 2 자본주의 논쟁이 중국·일본 혁명운동의 전략 설정에 끼친 영향 분석 1920년대 중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론 1920년대 러시아, 중국, 일본에서는 아시아적 생산양식론 (Asiatic Mode of Production, AMP)를 포함한 자본주의 논쟁이 첨예하게 진행되었다. 당시 중국과 일본 사회구성체를 어떻게 파악할 것인지를 둘러싼 자본주의 논쟁은, 그러한 파악과 이해에 따라 혁명운동의 당면과제와 노선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노선투쟁이 학계 등 이론전선으로 확장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소산홍건, 1955). 중국의 경우 아시아적 생산양식론을 둘러싸고 당면한 현실을 AMP의 잔존이라는 특수성을 가지며 사회주의 혁명을 지향해야 하는 상태로 볼지, 혹은 단선론적 역사발전..
학부생 나부랭이 블로그 주인장이 제출한 기말과제 졸고입니다. 소련 공산당 국제기구의 對日외교 정책 분석: 1920년대 후반 코민테른과 전후 코민포름 양자 간 단절성과 연속성을 중심으로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와 연구방법 Ⅲ. 스탈린 시기 소련 공산당 국제기구의 노선과 대일정책 1. 스탈린의 국제 공산주의 외교 노선의 단절성과 연속성 2. 코민테른과 코민포름의 對 日本共産黨 정책 및 노선 Ⅳ. 코민포름의 對 日共 정책의 혼란과 원인 1. 코민포름과 전후 일본공산당의 혼란 2. 원인 분석-단절성과 연속성을 중심으로 V. 결론 I. 서론 전후 일본공산당은 극심한 혼란을 겪는다. 1945년부터 1950년까지의 미군에 협조하는 노선, 1950년부터 급격하게 전환된 극좌 모험주의적 폭력혁명 노선, 이후 195..
책: 일본마르크스주의사 개설 저자: 고야마 히로타케 1) 마르크스주의의 이식 1919년 이후 노동운동, 사회운동이 부활하며 마르크스주의의 본격적인 이식이 시작됨. 자본론 번역 및 서구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저작이 번역되어 수입되지만, 아직까지는 일본 사회를 마르크스주의적 틀을 통해 총체적으로 분석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함. 1920년대 초 국제공산주의 영향받아 일본공산당의 결성: 외국에서 일본 운동 분석하려는 시도 나타남 코민테른 작성 '일본공산당 강령초안'(최초의 마르크스주의적 일본사회 총체적 분석) -일본 국가권력은 반봉건적 특질(권력의 메인은 천황제, 하지만 국가권력을 쥔 '블럭'이 존재함) -대토지 소유자와 상공 부르주아지 일부가 결합한 블럭에 국가권력을 가짐(블럭권력설) -자유주의적 부르주아지 일부..
독자연구 및 문건번역 페이즈1이 끝나간다. 당초 목표는 일본 사회당 좌파의 입장을 통해 정의당과 진보정치에 몇마디 얹어보려던게 전부였는데 생각보다 일이 커졌다. 진행하다보니 전전 일본의 사회주의 운동이 전후 혁신세력과 좌익에 끼친 영향과 맥락들을 어느정도 총체적으로 볼 수 있게된 것 같다. 일본 학생운동사를 독자연구하며 공산당(강좌파)과 학생운동 신좌익 세력의 관계는 어느정도 이해하고 있었지만 항상 노농파 및 사회당에 대한 이해는 부족했던 것 같다. 사회당에 대해 아는 바는 전후 공산당이 무장투쟁노선 때문에 의석이 격감하고 사회당이 약진했을 때 나온 명언(?)이자 정신승리인 '사회당은 공산당의 정책을 베꼈기 때문에 약진했다' 정도로만 파악했던 것 같다. 하지만 노농파와 사회당의 사상은 이렇게만 넘어갈 수..
일본 사회운동의 연표를 보다 보면 자주 나오는 투쟁들이 있다. 1,2차 안보투쟁, 반 레드퍼지 투쟁, 나리타 투쟁 등은 이미 유명하니 기존 자료들을 참고하길 권한다. 위에 열거된 운동들만큼은 아니더라도 상당히 강하게 일어났던 또 하나의 투쟁이 있는데, 바로 경직법 반대 투쟁이다. 여기서 경직법은 경찰관 직무집행법 개정안을 말한다. 1958년 격동의 전후, 일본 사회의 다양한 사회운동들이 폭발적으로 튀어나왔다. 패전으로 반전 분위기가 공감대를 사고 있음에도 평화헌법을 벌써부터 개악하려는 움직임이 보수정권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었다. 일본 공산당은 소감파와 국제파의 반목과 분열을 거치며 농촌에서 공공연하게 무장투쟁을 일으키는 등 소요사태도 빈번하게 발생했다. 당시 일본의 총리는 기시 노부스케였다. 아베 신조..

사회당 문건들을 번역하면서 공부를 하고 있다. 올해 중순까지는 사회당-공산당-신좌익이 어떻게 전후 일본에서 형성되었고 어떤 흐름을 따라 좌파 붐이 사그라들었는지를 체계적으로 정리를 하는 것이 목표이다. 대충 정리해놓으면 이후 한국 진보정당들에도 도움이 되는 무언가를 만들어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자료조사를 하다가 재미있는 현상을 발견했는데, 사회당이라는 존재가 선진 자본주의 국가에선 워낙 특수한 케이스라서 그런지 한국 좌파들도 각자 다른 방식으로 교훈을 찾고자 한다는 점이었다. 필자는 일본사회당의 이념적 선명성과 사회운동적 태도를 배우고, 이념적 선명성을 토대로 확고한 특정 이슈(개헌반대) 대항정당으로 자리매김하여 40여년이라는 긴 기간동안 제1야당으로 자리매김했던 점을 배워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

'일본에서의 사회주의에의 길'(이하 '길') 문건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이를 파악하려면 이 문건이 작성된 배경을 찬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일본사회당은 비공산 계열 좌파 빅텐트였다. 일본 공산당은 패전 이전에나 이후에나 좌파의 상징에 가까운 존재였다. 그러나 일공의 자멸에 가까운 대중 전술들(농촌 게릴라전, 무력투쟁)과 손바닥 뒤집듯 뒤집히는 당론들(6전협 등)에 따라 절대적 상징성을 잃기 시작했고, 이에 대한 반사작용으로 일본사회당이 유의미한 자민당 대항세력으로 인정받아 선거에서 선전하게 된다. 사회당은 애초부터 빅텐트의 성격을 가졌기 때문에 당내 분파 또한 매우 복잡했다. 크게는 유럽식 사회민주주의를 지지하는 분파와 교조적인 마르크스주의를 지향하는 분파가 있었는데, 후자는 대체로 일본사회당에 ..
1. 들어가며 지난 2019년 정의당 당대표선거의 화두 중 하나는 사회운동정당이었다. 이에 따라 당원들 내에서도 사회운동정당이 무엇인지에 대한 많은 논쟁이 있었다. 이 논쟁 속에서 심상정 당대표 후보는 사회운동정당과 대중정당을 등치시키는 프레임을 가지고 나왔고, 사회운동정당이라는 개념에 '등대정당', '이념(교조)정당', '운동권정당'이라는 저의가 깔려있다는 혐의를 받게 되었다. 하지만 사회운동정당과 대중정당이 대치되는 개념이라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며, 사회운동에 기반한 정당은 역사적으로든, 현존하는 것이든 좌파정치에서 일반적인 편이다. 가령 그리스 시리자의 약진에는 전국적인 반긴축운동이라는 배경이 있었으며, 스웨덴 사민당에는 노총 LO를 중심으로 한 강력한 산별 노동자운동이 있었고, 일본 사회당에는 ..